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굿디자인공모전-심사에(서류, 현물)
    카테고리 없음 2022. 4. 26. 22:08

     

     

    오늘은 굿 디자인 공모전을 준비하는 사람들을 위해! 저희가 지난 굿 디자인을 준비하면서 알게 된 정보나 팁을 공유하려고 해요~

    굿 디자인 로고

    1. 굿 디자인이란?

   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하는 우수디자인(GD) 상품의 선정은 산업디자인진흥법에 따라 1985년부터 매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디자인을 수집하고 심사를 거쳐 그 중에서 선정된 디자인에 GD(Good design)라는 심벌을 부여하는 제도입니다.

     

     

    2.심사기준

    -와사를 구서하는 형상과 형태, 색채 등의 요소들이 판매를 촉진할 수 있도록 아름답게 구성돼 독창성이 있는가.

    - 사용목적에 적합한 기능을 갖추고 사용이 편리하며 유지관리 용이함.

    - 상업적 생산에 적합하며 경제성이 있는가.

    -적합한 재료를 유효하게 사용하고 있는가.

    "이러한 기준으로 1차, 2차 심사를 하게 되는데, 먼저 1차 심사는 서류 심사로 진행되며 60점 이상을 받으면 통과됩니다"

    그 다음은 2차 심사에 제품을 제출해 현물심사를 하고 심사위원별 총점의 평균 점수가 60점 이상이면 통과됩니다.(2차 심사를 통과하면 굿디자인으로 선정되며 이후 3차 심사를 거쳐 그 중 가장 우수한 디자인을 골라 상을 주기도 합니다.~)

    평가를 실시하는 평가항목도 있는데, 모두 8가지로 되어 있습니다.

    심미성-미적으로 우수한가.

    독창성-모방이 아니라 자기 고유의 개성을 담아 만들었을까.

    사용성-형태와 구성 등이 컨셉에 맞는가.

    경제성-경제성이 높고 실용적인가.

    합목적성-사용목적에 적합한 기능을 갖추고 있는가.

    상호작용성-사용자중심으로 계속적으로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가.

    정보 전달성-컨셉에 합치하고 표현하는 바가 명확한가.

    환경친화성-생활공간과 환경에 안정성, 편의성을 고려하였는가.

    3.서류심사에 관하여

    1,2차 심사 중에서도 서류심사에서 제일 준비할 게 많았던 것 같습니다디자인의도,조형상의특징,사용성및안정성에대한배려,생산성등가격적정성에대한배려,친환경배려,상품의색,재질,마무리에대한특징까지모두상세하게기술하고제출해야했습니다.

    혹시 모르니 제출 당시 실제로 쓴 내용을 밑에 한글 파일로 올려 두었으니 참고용으로만 봐 주세요! (조금이라도 굿 디자인을 준비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!)

     

    #굿디자인공모전 #서류심사 #공모전 #송헤드 #플루트 #공예

    댓글 0

Designed by Tistory.